ISBN 9788960908024
발행(출시)일자 2023년 03월 14일
쪽수 212쪽
크기 154 * 188 * 21 mm / 536g
저자소개
저자(글) : 김보희
화가. 이화여대에서 동양화를 전공했다. 1980년 〈첫 번째 김보희 개인전〉을 시작으로 2 022년 제주현대미술관에서 열린 〈 the Days〉까지 다수의 개인전 및 단체전에 참여했다.
20여 년 전, 서울을 떠나 제주도로 이사한 후 제주도의 푸른 자연을 담아낸 그림을 꾸준히 그리고 있다. 오직 마음이 끌리는 대상을 차분하게 들여다보고 그림으로 옮긴다. 작업을 통해 추구하는 것은 결국 자연이라고 생각한다. 『평온한 날』은 첫 그림산문집이다.
이화여대에서 박물관 관장 및 동양화 전공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이화여대 동양화 전공 명예교수이다.
목차
책머리에
레오
마당
초록
꽃과 씨앗
바다
강산
사람 이야기
작품 목록
출판사 서평
“그림의 완성도나 사조랄까, 그런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끌리는 것이다”
화가 김보희의 시선을 담은 글과 그림을 함께 만나다
김보희의 그림을 보기 위해 전시장에 들어서면, 압도적인 스케일과 푸르고 시원한 색감에 시선을 빼앗기게 된다. 생명력 넘치는 제주의 자연을 꾸준히 그려온 김보희의 작품은 “지상에 스민 평화로움”(김유정 미술평론가)을 느끼게 한다. 주로 제주 집의 정원과 바다, 중문 풍경을 그린 그림들은, 그가 이상향으로 생각하는 자연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김보희는 그림을 그릴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끌리는 것”이라고 말한다. 마음이 움직이는 대상을 한참 동안 가만히 들여다보고, 화폭에 옮기는 것이다.
관람객은 완성된 작품을 통해 화가의 마음을 겨우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그렇기에 책을 통해 들려주는 김보희의 이야기들은 자체로 귀하다. 화가가 무엇에 경탄하는지, 무엇에 마음이 끌리는지 따라 읽어보며, 작품에 대한 보다 넓은 이해로 나아갈 수 있다.
제주도 서귀포의 작업실 정원은 나에게 늘 푸르름과 생각을 선물하는 초록색 공간이자 휴식처이다. 수많은 종류의 풀과 꽃과 나무 들이 자유로이 자신들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바로 곁에 붙어 있는 다른 존재들과 다투지 않고 서로서로 얽혀서 살아가는 모습은 참으로 경이롭기까지 하다. _37쪽
김보희의 글과 그림을 통해 엿볼 수 있는 것은 그가 생명을 얼마나 경이롭게 여기는가 하는 점이다. 반려견, 연못에 사는 금붕어, 정원에 심은 야자나무들에 이르기까지 화가는 자연과 생명 하나하나에 섬세하게 반응한다. 특히 다수의 그림에 종종 등장하는 반려견 레오에 대한 사랑은 각별하다. 그동안 레오가 나오는 그림을 인상 깊게 본 사람들이라면, 『평온한 날』을 읽고 난 후 그림들이 좀 더 특별하게 다가오는 경험을 할 것이다. 바다와 정원 등의 자연뿐 아니라, 살아 있는 생명과의 교감은 화가에게 중요한 영감이 된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이 삶을 어떻게 바꾸는가’
세상의 경이로움을 발견하고 표현하는 삶
김보희는 크고 묵직한 화집이 아닌 그림산문집을 내는 이유를 두고 “전시장에 쉽게 올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서라고 이야기한다. 전국 책방 어디에서든 만날 수 있는 책을 통해 사람들이 예술을 좀 더 가까이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의 발로이다. 전시장에서 직접 보는 작품이 주는 강한 인상만큼, 종이에 인쇄된 그림을 한 장 한 장 넘기며 상상력을 더해보는 것 또한 의미 있는 일이다.
내가 그림 속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자연의 경이로움, 생명의 기운, 평화 같은 것들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다.
내 그림을 보고 위로와 평안을 얻는 사람들이 있다고 한다. 그럴 때마다 그림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한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이 삶을 어떻게 바꾸는지도 생각한다. _200쪽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표현하는 것. 보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예술의 의미를 『평온한 날』을 통해 되새긴다. 화가로서 칠십 평생 그림을 그려온 김보희는, 자신의 그림이 누군가의 삶에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캔버스 앞에 선다고 했다. 그런 바람이, 책에 간절히 스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