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강민희 , 박희명 , 노웅빈 , 송두원 , 이가원 , 박수빈 , 김종원 , 강현민 , 강동재 지음 |
---|---|
출판사 | 조공 |
정가 | 16,000원 |
할인 판매가 | 14,400원 |
상품코드 | P0000BNV |
배송방법 | 택배 |
배송비 | 3,000원 |
수량 | ![]() ![]() |
구매방법 | |
---|---|
배송주기 |
정기배송 할인 save
|
옵션선택 |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SBN 9791197669316(1197669310)
쪽수 101쪽
크기 158 * 218 * 19 mm /485g
저자소개
저자 : 강민희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 인턴/레지던트/선임수의사 근무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박사 (DVM, PhD)
미국 수의사 면허 (ECFVG) 취득
미국 UC Davis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 신장내과 및 혈액투석실 연수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Postdoctoral Fellow in Nephrology and Hemodialysis)
(전)한국수의순환기학회 학술위원
(현)한국수의영양학회 학술위원
(현)한국수의임상피부학회 전문의 인증위원
(현)장안대학교 바이오동물보호과 교수
저자 : 박희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석사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 박사
미국 테네시 주립대학 박사후 연구원
미국 UC Davis 수의과대학 방문연구교수
(전)대한수의학회 부회장
(전)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학장
(전)한국임상수의학회 학술위원장
(전)임상교육협의회 전문의제도위원회 위원장
(전)한국수의임상피부학회 회장
(현)한국수의영양학회 부회장
(현)한국수의순환기학회 부회장
(현)한국임상수의학회 편집위원장
(현)대한수의학회(영문지) Associate editor
(현)한국수의내과학전문의(DKCVIM)
(현)아시아수의내과학전문의(diplomate of AiCVIM) 및 피부학전문의
저자 : 노웅빈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 박사
저자 : 송두원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 박사
저자 : 이가원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 박사
저자 : 박수빈, 김종원, 강현민, 강동재
[박수빈]
천안동물메디컬센터 원장
[김종원]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 석사 과정
[강현민]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 석사 과정
[강동재]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내과학 석사 과정
목차
서문
이 책을 읽으실 분들께
꼭 읽어주세요!
제1장 심장의 구조와 기능
1. 심장은 어떻게 생겼나요?
2. 심장에 연결된 혈관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3. 판막 질환이 많다는데, 판막이 무엇인가요?
4. 동물 간에는 심장 구조의 차이가 있나요?
5. 심장은 어떻게 뛰나요?
6. 심장의 움직임에 이상이 생기면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제2장 심장병 이해하기(part I)
1. 심장병이란?
2. 개와 고양이의 심장병은 어떻게 다른가요?
3. 심장병이 생기면 어떤 증상이 발생하나요?
1) 운동하기 힘듦(exercise intolerance)
2) 기침
3) 호흡 곤란
4) 청색증
5) 복수, 흉수
6) 기절
7) 뒷다리 마비
4.심장 질환에 취약한 개·고양이의 품종
1) 이첨판 질환에 걸리기 쉬운 품종
2) 확장성 심근병증에 걸리기 쉬운 품종
3) 비대성 심근병증에 걸리기 쉬운 품종
제3장 심장병 이해하기(part II)
1. 심장에 문제가 생기면, 몸에 어떤 일이 일어나나요?
2. 심장에 문제가 생긴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1) 기침
2) 쇠약해지고 운동하기 힘들어함
3) 호흡 곤란
4) 체중 감소
5) 실신
6) 복수
7) 청색증
3. 심장병 진단을 위해 어떤 검사가 필요한가요?
1) 기본 검사
① 신체검사
② 청진
③ 혈압측정
2) 정밀 검사
① 심전도 검사
② 홀터 검사
③ 방사선 검사
④ 심장 초음파 검사
⑤ 심장 바이오마커 검사
4. 심장병 단계에 따라 관리 방법이 다른가요?
5. 심장병의 단계별 치사율 및 예상 수명
제4장 선천적으로 심장이 약한 아이들
1. 선천성 심장병이 무엇인가요?
2. 선천성 심장병의 종류 및 많이 발생하는 품종
1) 동맥관 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 PDA)
2) 대동맥하 협착증(subaortic stenosis, SAS)
3) 폐동맥판 협착증(pulmonic stenosis, PS)
4) 심실 중격 결손(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5) 심방 중격 결손(atrial septal defect, ASD)
6) 방실 판막 기형(이첨판 이형성, 삼첨판 이형성)
7) 팔로사징(tetralogy of fallot)
8) 혈관고리 기형(vascular ring anomalies)
9) 삼심방증(cor triatriatum)
10) 심장내막 탄력섬유증(endocardial fibroelastosis)
3. 선천성 심장병의 치료 및 관리 방법
1) 동맥관 개존증의 치료
2) 폐동맥판 협착증의 치료
3) 심실 중격 결손의 치료
4) 심방 중격 결손의 치료
5) 이첨판·삼첨판 이형성의 치료
6) 팔로사징의 치료
7) 혈관고리 기형의 치료
8) 삼심방증의 치료
제5장 심장병 치료 시 주의사항
1. 약물을 먹일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나요?
1) 전반적인 주의사항
2) 약물별 주의사항 및 부작용
2. 이뇨제를 먹이면 신장이 나빠지지 않나요?
3. 심장병을 관리하면서 신장을 보호할 방법은 없나요?
제6장 심장병과 식이 관리
1. 간식과 사료 라벨에서 꼭 확인해야 할 영양 성분
2. 함께 주면 도움이 되는 영양제
제7장 심장병이 있는 아이들의 보호자가 꼭 알아야 할 점
1.평상시 관리 방법 - 흥분과 스트레스 관리
1) 운동 제한
2) 클래식 음악
3) 아로마 테라피
2. 언제 병원을 가야 할까요?
이 책을 펴내며
책을 마무리하며
출판사 서평
개와 고양이는 기본적으로 심장 구조가 비슷하지만, 주로 발생하는 심장병의 종류는 다릅니다. 개는 고양이에 비해 판막성 심장 질환이 많이 발생하며, 고양이는 주로 심근에 문제가 생기는 심근 질환이 많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개가 판막성 질환을 앓으면 심장 내로 혈액이 역류하여 저류되면서 심장이 커지고, 고양이가 심근 질환을 앓으면 심장 근육이 두꺼워져 심장 내부 공간이 좁아집니다.
- 개와 고양이의 심장병은 어떻게 다른가요?
심장병으로 인해 혈액 순환이 잘되지 않으면 눈, 귀, 잇몸, 혀의 원래 붉었던 점막이 검푸르게 변합니다. 이를 청색증(cyanosis)이라고 합니다. 앞서 산소가 많은 혈액을 동맥혈, 산소가 적은 혈액을 정맥혈이라고 말씀드렸는데요, 동맥혈은 산소가 많아 붉은색이 돌고, 정맥혈은 산소가 적어서 검푸른색이 돕니다. 점막에는 모세혈관이 있는데, 혈액 순환이 잘되지 않아 산소가 충분하지 않은 정맥혈이 공급되면 점막이 검푸르게 변하는 것이지요.
청색증은 산소가 온몸에 잘 공급되지 않는다는 지표이므로, 매우 심각한 상태를 뜻합니다. 반려동물에게서 청색증이 확인된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 산소 공급과 응급 처치를 해야 합니다.
- 심장에 문제가 생긴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선천성 심장병 치료의 기본은 기형적인 혈관이나 이상 구조를 교정하여 불필요한 혈류의 흐름을 막아주는 데 있습니다. 보통의 질환이 그렇듯이, 일반적으로 심장병도 진단 이후 완치의 개념이 없습니다. 하지만, 일부 선천성 심장병은 기형적인 심장 구조를 교정하면 정상적인 심장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흉곽 절개를 통해 수술적인 심혈관 기형 구조의 복구를 시도하거나, 최근에는 혈관을 통한 심장중재술을 이용합니다.
- 선천성 심장병의 치료 및 관리 방법
심장병 치료를 하면서 꼭 염두에 두어야 하는 장기가 신장입니다. 심장병과 신장병의 치료는 서로 반대의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마치 이루어질 수 없는 비극적 소설의 주인공처럼, 심장병 치료 방법은 신장에 부담을 주고, 신장병 치료 방법은 심장에 무리를 줍니다. 그 비극의 가운데 ‘물(수분)’이 있습니다.
- 이뇨제를 먹이면 신장이 나빠지지 않나요?
과거에는 심장병 환자의 혈압 조절을 위해 나트륨을 무조건 제한하라고 권했습니다. 하지만 과도하게 나트륨을 제한해 체내 나트륨 농도가 너무 낮아지면, 몸에서 일어나는 보상 작용으로 부신에서 알도스테론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알도스테론은 신장에서의 나트륨 재흡수를 촉진시키며 혈압 상승을 유발하므로, 결국 심부전이 악화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 간식과 사료 라벨에서 꼭 확인해야 할 영양 성분
L-카르니틴(L-carnitine)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심장 근육의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입니다. 심장 근육에 산소 공급을 촉진하고 회복을 도와줍니다. 부작용이 적지만 가격대가 비싼 편이고, 개의 L-카르니틴 최소 요구량은 정확히 논의된 바가 없지만, 하루 세 번 kg당 50~100mg을 경구 투여하는 것이 권고됩니다.
- 함께 주면 도움이 되는 영양제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이 없습니다